티스토리 뷰

반응형

 

 

1. 해부학적 범위와 불분명한 부위

진단 결과가 원발 조직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으면, '상세불명' 범주보다는 우선하여 각각의 불분명한 부위에 대해 알파벳 색인에서 제시한 적절한 조직으로 코드화

 

2. 접두사

해부학적 부위가 ICD - O 목록에 특별히 수록되어 있지 않고, peri-, para-와 같은 접두사가 명시되지 않으면 C76

 

3. 부위 경계를 중복하는 악성 신생물

하나의 종양이 둘 또는 그 이상의 범주 또는 하위 범주 경계를 중복하면서 그 발생점을 결정할 수 없을 때 하위 범주 .8 사용

 

4. 림프종을 위한 원발부위 코드

- 하나의 림프종이 다수의 림프절 구역을 포함할 경우

- 비림프절성 림프종 (그곳이 생검 부위가 아닐지라도 발생 부위로 코드화)

 

5. 백혈병을 위한 원발부위 코드

모든 백혈병의 원발부위 C42.1

 

6. 불명확한 원발 부위 입력 지침

 

1) C80.9

- 원발부위가 명시되어 있지 않고 조직 소견으로 원발부위를 전혀 추정할 수 없는 경우

- 전이암으로 원발부위를 알 수 없는 경우

 

2) C80.9 대신 추정된 원발부위 코딩

- 전이암이나 조직 소견으로 원발부위를 추정할 수 없는 경우

 

3) 상충 보고서가 있는 경우 코드 선정의 우선순위 결정

- 수술 소견은 영상의학검사소견보다 더 정확하다

- 수술조직검사 결과는 내시경 조직검사 결과보다 정확하다

- 절제한 표본의 병리학적 결과는 육안적 검사보다 더 정확하다

- 병리의사가 원발부위, 전이 부위 조직을 판독할 수 있다 (진단 결과가 전이 부위로 의심되는 경우에는 병리의사에 재확인 요청)

 

7. 원발부위 결정이 어려운 부위

1) 림프절

- 림프종의 원발은 림프절로 코딩

- 예외 extra lymphtic lymphomas ( 림프절 보다는 소화기관이나 호흡기관에서 발견)

2) 혈액 및 골수

- 원발부위가 bone marrow인 질환 (Leukemia, Myeloma )

- 혈액암 진단을 위한 검사법 (골수 조직 검사, 흡인 생검)

 

3) 결합 조직의 코딩에서 주의

- 결합 조직으로 코딩하면 안 됨

- Smooth muscle (많은 장기의 벽에서 발견되므로, 해당 장기 분류)

 

4) 간담관

- 기록에 bile duct 만 언급되고, 추가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 Bile duct cacinoma는 발생이 여러 부위이므로 구체적인 확인이 필요함

 

8. 편측성 입력 지침

 

1) 편측성 코드 원칙

- 쌍을 이룬 장기의 좌우 방향을 코딩하는 항목

- 암종 중 쌍을 이룬 장기의 원발부위의 발생 위치가 오른쪽, 왼쪽으로 서로 다른 경우보다 정확한 암등록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추가

- 지침서에 나열된 모든 부위에 대해 편측성에 사용하는 1~9를 코딩

- 편측성 코드에 대한 부위는 반드시 기록

 

2) 편측성 입력 지침

- 편측성 세부 코드 번호

0 쌍을 이룬 부위가 아님

1 원발부위가 오른쪽

2 원발부위가 왼쪽

3 원발부위가 오른쪽인지 왼쪽인지 상세 불명이지만 한쪽을 침범함

4 진단 시 하나의 원발 부위에 대해 양쪽 침범, 단일 원발 종양에 원발부위가 어느 쪽인지 모르는 경우

5 쌍을 이룬 장기 : 정중선 종양

6 쌍을 이룬 장기이지만 편측성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