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해부학적 범위와 불분명한 부위
진단 결과가 원발 조직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으면, '상세불명' 범주보다는 우선하여 각각의 불분명한 부위에 대해 알파벳 색인에서 제시한 적절한 조직으로 코드화
2. 접두사
해부학적 부위가 ICD - O 목록에 특별히 수록되어 있지 않고, peri-, para-와 같은 접두사가 명시되지 않으면 – C76
3. 부위 경계를 중복하는 악성 신생물
하나의 종양이 둘 또는 그 이상의 범주 또는 하위 범주 경계를 중복하면서 그 발생점을 결정할 수 없을 때 – 하위 범주 .8 사용
4. 림프종을 위한 원발부위 코드
- 하나의 림프종이 다수의 림프절 구역을 포함할 경우
- 비림프절성 림프종 (그곳이 생검 부위가 아닐지라도 발생 부위로 코드화)
5. 백혈병을 위한 원발부위 코드
모든 백혈병의 원발부위 – C42.1
6. 불명확한 원발 부위 입력 지침
1) C80.9
- 원발부위가 명시되어 있지 않고 조직 소견으로 원발부위를 전혀 추정할 수 없는 경우
- 전이암으로 원발부위를 알 수 없는 경우
2) C80.9 대신 추정된 원발부위 코딩
- 전이암이나 조직 소견으로 원발부위를 추정할 수 없는 경우
3) 상충 보고서가 있는 경우 코드 선정의 우선순위 결정
- 수술 소견은 영상의학검사소견보다 더 정확하다
- 수술조직검사 결과는 내시경 조직검사 결과보다 정확하다
- 절제한 표본의 병리학적 결과는 육안적 검사보다 더 정확하다
- 병리의사가 원발부위, 전이 부위 조직을 판독할 수 있다 (진단 결과가 전이 부위로 의심되는 경우에는 병리의사에 재확인 요청)
7. 원발부위 결정이 어려운 부위
1) 림프절
- 림프종의 원발은 림프절로 코딩
- 예외 extra lymphtic lymphomas ( 림프절 보다는 소화기관이나 호흡기관에서 발견)
2) 혈액 및 골수
- 원발부위가 bone marrow인 질환 (Leukemia, Myeloma 등)
- 혈액암 진단을 위한 검사법 (골수 조직 검사, 흡인 생검)
3) 결합 조직의 코딩에서 주의
- 결합 조직으로 코딩하면 안 됨
- Smooth muscle (많은 장기의 벽에서 발견되므로, 해당 장기 분류)
4) 간담관
- 기록에 bile duct 만 언급되고, 추가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 Bile duct cacinoma는 발생이 여러 부위이므로 구체적인 확인이 필요함
8. 편측성 입력 지침
1) 편측성 코드 원칙
- 쌍을 이룬 장기의 좌우 방향을 코딩하는 항목
- 암종 중 쌍을 이룬 장기의 원발부위의 발생 위치가 오른쪽, 왼쪽으로 서로 다른 경우보다 정확한 암등록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추가
- 지침서에 나열된 모든 부위에 대해 편측성에 사용하는 1~9를 코딩
- 편측성 코드에 대한 부위는 반드시 기록
2) 편측성 입력 지침
- 편측성 세부 코드 번호
0 쌍을 이룬 부위가 아님
1 원발부위가 오른쪽
2 원발부위가 왼쪽
3 원발부위가 오른쪽인지 왼쪽인지 상세 불명이지만 한쪽을 침범함
4 진단 시 하나의 원발 부위에 대해 양쪽 침범, 단일 원발 종양에 원발부위가 어느 쪽인지 모르는 경우
5 쌍을 이룬 장기 : 정중선 종양
6 쌍을 이룬 장기이지만 편측성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