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TNM 병기의 개념

1) 가장 널리 쓰이는 임상 병기 분류 시스템

2) 종양의 병기를 임상적으로 분류하는 방법에서 사용

3) 국제 암 관리연맹과 미국 연합 암 위원회 개발

4)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많이 사용

 

2. TNM의 구성

1) T(tumur) 종괴 원발암종괴의 범위 또는 크기 및 침윤 정도

2) N(nodes) 림프절 주변 림프절의 침범 정도

3) M(metastasis) 전이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

 

3. TNM 구성 요소의 의미

1) T

- 원발암 종괴의 범위 또는 크기 및 침윤 정도

- 원발부위 침범의 깊이, 표면 전파, 크기의 세 가지 형태에 기초를 두어 일차성 또는 직접 퍼져나간 종양의 침범 범위를 T0~T4까지 분류

TX 원발암을 평가할 수 없음

T0 원발암의 증거가 없음

Tis 정상 소재 암은 비정상 세포가 존재하기는 하나 인접 장기로 확산하지 않음, 암으로 진전될 수도 있는 단계, 침윤전암

T1~3 원발암의 크기 또는 범위

T4 다른 공동, 장기, 주요 신경, 동정맥들에 퍼져있는 광범위한 병변, 고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뼈의 파괴도 있음

 

2) N

- 주변 림프절의 침범 정도

- 임파절이 침범된 범위를 N0~4까지 분류

NX 임상 평가가 어려움, 주변 림프절 침범 여부를 평가할 수 없음

N0 주변 림프절로 침범되지 않음

N1~3 주변 림프절로 침범됨

N4 첫 번째 위치 이상의 림프절 침범

 

3) M

-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

- 혈관성 전파로 인한 원격전이의 유무 또는 해부학적 침범 부위를 M0~4까지 분류

MX 전이 검사가 시행되지 않았음

M0 전이의 증거가 없음

M1 한 장기나 해부학적 부위에 국한된 하나의 고립된 전이

M2 한 장기나 해부학적 부위, , 골격, 간 등에 국한된 다수의 전이성 병태, 조직기관이나 부위에 기능성 장애가 없거나 극소수

M3 해부학적으로 다발성 장기들에 침범, 침범된 장기의 기능장애가 없거나 극소이거나 중등도

M4 해부학적으로 다발성 장기들에 침범, 침범된 장기들의 기능 장애가 중등도이거나 심함

 

4. The Ann Arbor staging

1) 1971년 미국의 미시간주 Ann에 모여 호지킨병 병기 분류 체계 구축

2) 1966 근간으로 개발한 호지킨 림프종의 병기 분류 체계

3) 1988년 영국의 costworlds에서 Ann Arbor를 수정 및 보완

 

5. FIGO

1) 1961년 자궁경부암에 대한 임상적 분류 채택, 국제 산부인과학회에서 만든 분류 체계로 환자 예후를 예측하는 인자를 반영하여 분류하였다.

2) 여성 생식기(자궁암/난소암/질암/외음부암) 분류 체계로 3년마다 주기적으로 수정하였다.

 

6. Dukes

1) 1932C.E.Dukes가 개발한 대장암, 직장암에 대한 병기 분류 체계

2) 절제된 종양 소견에 준하는 병리학적 병기 분류

 

7. 병기 분류 체계 요약

1) 악성 흑색종 / 피부의 침윤 깊이에 따른 분류 Clark’s level

2) 악성 흑색종 / 종양의 두께를 mm 단위로 측정 Breslow’s

3) 여성 생식기(자궁암/난소암/질암/외음부암) - FIGO

4) 대장암, 직장암 / 장벽이 침윤 깊이와 임파절 침범 여부 - Dukes

5) 호지킨 / 임파절과 내장 침범 근거 - Ann

6) 전립선암 / 종양의 범위와 위치에 따라 분류 American, Whitmore

7) 전립선암/ 방광 벽의 침윤 정도에 따라 분류 Jewett, Marshall

8) 고환암 Skinner, Smith

9) 음경암 - Jackso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