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신생물의 분류 기준 신생물의 분류를 올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신생물에 관한 의학용어와 이론적 지식이 상당히 있어야 하며 필요할 때는 수시로 의학서적을 참고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싶다. ICD, KCD에서 신생물은 다음 기준에 따라 분류되었다. - 신생물의 행동양식 - 해부학적 부위 - 신생물의 조직학적 형태 1) 행동양식 행동양식이란 신생물 세포의 활동 상황 내지는 행동 양태를 말하며 크게 악성과 양성으로 대별된다. ICD에서는 다름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 악성 : C00-C97 인접한 주위 조직으로 침윤하거나 멀리 있는 다른 장기로 전이되어 전신적 영향을 주거나 사망에 이르게 하는 신생물이다. Code No. C00-C75는 폐암과 같은 어느 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고형성 신생물이고 C71-C96..
14.일반 준칙 1) 선도어 아래 나열된 많은 항목 중에서 가장 맞는 용어를 택하여 맞는 code No. 를 찾아내려면 다음의 주석 또는 용어를 주의하여 읽어야 한다. - 선도어나 세분된 용어 다음에 따라 나오는 괄호 속에 있는 용어들 - 선도어 다음에 필요에 따라 두 번 또는 세 번 단계적으로 세분된 용어들 - 사람 이름에서 따온 용어들은 그 이름이나 “Disease(질환)” 또는 “Syndrome(증후군)”에서 찾을 수 있다. - “See(참조)”나 “See also(-도 참조)”가 있을 때 그 관련 용어들 2) 제1권의 큰 제목 또는 각각의 번호 아래 나오는 “Includes(포함)” 또는 “Excludes(제외)” 지시를 자세히 읽고 확인하여 지시대로 따른다. 이것을 확인하지 않고 제3권만 보고 ..
12. 제3권은 제1권에 대한 가나다(알파벳)순의 색인표이다. 이 색인표에는 1권 나열된 진단용어들에 대하여 여러 가지 관련 용어를 나열해 놓아 1권에는 없는 용어가 다수 포함되어 있으나 다양한 상황들을 모두 다 나타내 준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1권과 3권을 항상 같이 사용하되 3권에서 찾아낸 code No.는 1권에 가서 반드시 확인한 후에 사용해야 한다. KCD의 색인책은 한 면의 왼쪽 단에는 한글 용어를, 그리고 오른쪽 단에는 그에 해당하는 영어 용어를 나열하였다. 13. 제3권의 개요 제1부 : 질병 및 손상의 성질 색인 - 약물과 기타 화학 물질을 제외하고 A00-T98, Z00-Z99, U00-U99 장에 분류되는 모든 용어를 수록하고 있다 제2부 : 손상의 외인 - 질병과 사망에 관..
11. 기타 선택적 이중 번호 부여 검표와 별표를 이용한 이원 분류 이외에 어떤 한 병태를 충분히 나타내 주기 위하여 code No. 2개를 쓸 수 있는 분류항들이 있다. 분류항에 “필요한 경우 추가 번호를 사용하시오.”라는 “주”가 이러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 추가 번호는 특수 제표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경우들이다. 1) 해부학적 통계별 질환의 장으로 분류되는 국소감염을 분류할 때 그 원인균을 나타내 주는 추가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1장의 B95-B98은 이러한 용도를 위하여 만들어진 번호이다. 2) 기능적 활동을 하는 신생물을 분류할 때 2장의 번호와 함께 그 기능적 활동 형태를 나타내주는 번호를 추가 번호로 사용할 수 있고 6장에서 해당 번호를 고를 수 있다. 3) 신..
10. ICD, KCD 사용 방법 질병분류 체계의 구조와 목적을 올바른 방법으로 이해하는 것은 질병분류 담당하는 실무자뿐만 아니라 통계전문가나 보건 정보의 분석자 모두에게 필수적인 일이다. ICD, KCD를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이용하려면 세 권으로 구성된 ICD, KCD 전체의 올바른 사용법과 세부적인 사항들을 숙지해야 한다. 1권 사용 방법 제1권은 번호 순서별로 질병들을 나열해 놓은 분류일람표이다. 모든 진단명이 알맞은 곳에 분류되도록 항목들이 나열되어 있어 통계 목적으로 분류하여 집계하기 알맞게 되어있다. 또한 통계 이용자들에게 통계표에 포함된 항목, 세 항목 및 제표 항목의 내용을 정의하여 주었다. 이론적으로는 제1권만으로도 질병분류가 가능하나 이것은 시간 낭비고 실수의 가능성이 크므로 제3권 ..
8.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제8차 개정 우리나라에서 질병·사인 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제4차 개정 국제사 인표(1929년)를 채택하여 인구동태 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제7차 개정에서는 WHO에서 권고한 국제질병분류(ICD-10) 업데이트 내용을 반영하고 우리나라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비하였으며, 한의 분류를 재정비하고, 분류할 수 있는 희귀 질환을 반영하였으며 의학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질병 용어를 정비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는 2015년 9월 24일 개정 고시(통계청 고시 제2015-309호)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하였습니다. 9. 분류체계와 기본 구조 항목군 각 항의 3단위 분류 항목 중에서 유사한 성질을 갖는 것끼리 항목군으로 묶었고 이는 중분..
6. 진단 용어 1. 최종 진단: 환자의 입원 기간에 모든 자료가 다 모여진 후 또는 어느 일련의 진료에 관련된 모든 검사가 완료된 후 기록된 진단 2. 주 진단: 주 진단에 대한 미국의 정의는 모든 검사 후 입원의 가장 주된 원인이 되는 상태 3. 기타 진단: 입원 시 가지고 있었거나 입원 후 발생한 상태 또는 치료나 재원 기간에 영향을 주는 상태 4. 주 처치: 진단이나 시험적 목적으로 실시한 처치 또는 합병증 치료를 위한 처치가 아니라 분명한 치료 목적으로 실시된 처치를 말한다. 만약 이러한 처치가 두 가지 이상이라면 주된 병태에 관련된 처치를 주 처치로 선정해야 한다. 5. 주된 병태: 진료의 최종시점에서 확진된 것으로 그 환자의 치료나 검사를 가장 필요로 했던 상태 *ICD-10 제2권은 주된 ..